다양한 정보

조 바이든 대통령에 대하여 알아보다 : 생애 및 가족관계

마중러 2023. 4. 28. 14:33
728x90

 

 


 

 

 

✅ 조 바이든 대통령의 생애 

 

 

조 바이든은 1942녀누 11월 20일 펜실베니아 주 스크랜턴에서 태어났다. 아일랜드 계 미국인 조지프 로비넷 바이든 시니어와 캐서린 유지니아 진 바이든 사이에서 태어났다. 

 

10살때 부모를 따라 델라웨어 주로 이주 하여 그 곳에서 성장했다. 델라웨어 대학교에서 역사학. 정치학을 전공하였고 시러큐스 대학교 로스쿨에서 법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 이후 변호사 활동을 하며 민주당의 개혁파로 활동하였으며 1970년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72년에 민주당 소속으로 상원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최연소 상원의원이라는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상원의원으로 활약하며 다양한 경력을 쌓았고 36년간 연임하며 외교.국방. 법률 분야의 전문가로 활약하며 2008년에는 버락 오바마의 대통령의 런닝메이트로 부통령직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2020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여 도널드 트럼프를 꺾고 미국 대통령에 당선 되었다. 

 

 

 

✅ 불행. 슬픈 가족사

 

조 바이든이 최연소로 상원의원으로 당선되었지만 그 해 12월  아내와 세 자녀가 크리스마스 선물을 사러 가던 중 차량 사고를 당하게 된다. 이 사고로 아내와 딸이 사망하였고 두 아들도 중상을 입었다. 이로 인해 바이든은 상원의원 포기를 고민할 정도로 슬픔에 빠져 힘든 시간을 보내게 된다.

 

하지만 이 것이 끝이 아니었다. 2015년 아들 보 바이든이 뇌암을 진단받고 투병생활을 하다 4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델라웨어주의 검사장이었고 아버지처럼 정치가의 길을 걷던 그의 사망은 바이든에게 깊은 절망을 겪게 한다. 

 

 

 

 

 

조 바이든과 대한민국 

 

 

조 바이든 대통령은 기본적으로 한미동맹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한다. 안보와 경제 분야에서 동맹국 우방으로써 협력을 지속하고 강화하길 원한다. 그 동맹을 통해 미국의 이익을 보호하고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길 원한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의 지역안정과 힘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고 생각한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재임 시절 부통령으로써 한국 정부와의 정치적접촉이 많았고 외교.국방 전문가로써 한반도 지식이 해박하다는게 정설이다. 

 

또한 달라진 한국의 위상 만큼 한국이 세계 정치에서 더 큰 역할을 해주길 원한다. 예를 들어 한미일 공조를 통해 동북아 세력균형의 역할을 하여 중국과 북한을 압박하길 원한다. 또 대만 해협의 문제에서도 한국의 역할을 원하면서 우리와 중국의 새로운 갈등이 시작되기도 했다. 최근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문제에서도 한국의 역할을 원하는 그의 생각이 들어나기도 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