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에 대하여

미슐랭 가이드에 대해 알아보자 : 미슐랭 원스타 그게 뭔데?

마중러 2023. 3. 31. 01:22
728x90


맛집의 가이드라인 . 미슐랭 가이드

 

 세계에서 가장 신뢰받고 권위 있는 레스토랑 가이드 중 하나인 "미슐랭가이드"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고자 한다. 처음 미슐랭 가이드는 1900년대에 처음 출판되었으며 당시에는 운전자들을 위한 여행 정보. 도로 지도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했다. 

 

1926년 부터 음식점에 별을 부여하며 기준을 만들었고 1931년부터 별을 1개에서 3개까지 구분하여 표기하였다. 현재 미슐랭 가이드는 세계 30여개국 의 약 2만 5천여개의 음식점과 호텔을 평가하고 있고 매년 새로운 신판을 발행하고 있다. 

 

 

미슐랭 1스타? 2스타 ? 

 

미슐랭 가이드의 별은 어떤 의미를 갖고 있을까? 

 

✔1 스타 : 매우 훌륭한 음식점. 방문할 가치가 있음

 

✔2 스타 : 특별한 요리의 음식점 : 여행을 할때 방문할 만한 가치가 있음

 

✔3 스타 : 예외적인 요리를 제공하는 음식점. 여행을 위해 특별히 방문할 가치가 있음 

 

 

 미슐랭 가이드는 오직 음식만의 퀄리티와 창의성에만 초점을 갖는다. 또한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매년 엄격한 평가를 거쳐 재검토되고 평가에 따라 별이 감가 될 수 있다. 

 

 

 

 

미슐랭 가이드 평가방법

 

음식.서비스 및 전체적인 식당을 평가하기 위해서 숙련된 조사관들이 여러차례 방문한다. 익명의 검사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식사 비용등을 직접 지불하여 익명성과 공정성을 보장하려고 한다. 

 

그 과정이 엄격하고 철저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심사원들은 250일 이상 여행 하며 800여개의 음식점을 방문하여 평가한다고 한다. 객관성을 갖기 위해 꾸준히 노력중이라고 한다. 

 

 

 

 

 

 

 

미슐랭 가이드에 대한 논란과 비판

 

✔ 유럽중심 주의

 

미쉐린 가이드는 전통적으로 유럽 특히 프랑스 요리에 초점을 맞추었고 다른 요리에 상대적으로 편향적인 판단을 한다는 논란이 많다. 

 

✔일관성의 문제 

 

자체적으로 엄격한 기준을 갖고 있다고는 하지만 지속적으로 비평가들에게 비판을 받는다. 평가에서 별을 잃은 레스토랑에게 구체적인 설명도 없이 통보하여 좌절과 혼란을 주고 있다. 

 

✔ 셰프에 대한 압박

 

미슐랭을 받는 것은 영광스럽지만 반대로 잃는 것에 대한 압박감도 상당하다고 한다. 언제 올지 모르는 엄격한 조사 때문에 항시 스트레스를 받고 세프들에 부담감을 키우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다양성 부족

 

유럽중심의 가이드 선정과 고급식사에만 초점을 맞춘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각 국가의 환경이나 다양성을 고려하여 선정해야한다는 지적이 있다. 

728x90